반응형

2025/05/23 48

이사야

성경의 인물연구이사야 ― 희망과 복음의 선지자1. 인적 사항① 이사야는 '여호와는 구원이시다'라는 뜻. ② B.C.760년경 예루살렘에서 출생했을 것으로 추정됨.③ 아모스의 아들9사 1:1). ④ 여선지인 아내와 두 아들 스알야숨, 마헬살랄하스바스를 둠(사 7:3;8:3).⑤ 귀족 출신. 예루살렘 중심 사역. ⑥ B.C.739-680년경(웃시야,요담,아하스,히스기야,므낫세)예언 활동.⑦ 므낫세의 치세 기간 중 톱으로 몸이 둘로 잘리어 순교 당했다고 전해짐(히 11:37).2. 시대적 배경이사야는 남왕국 유다의 제10대 왕인 웃시야가 죽던 해인 B.C.739년부터 제14대 왕인 므낫세(B.C.679-642년)가 통치하던 시기인 B.C.680년경까지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남유다에서 활동한 선지자이다. 이때 당..

성경인물연구 2025.05.23

성경의 인물연구욥 ― 동방의 의인1. 인적 사항① '욥'이라는 이름은 '적을 가진 자', '회개한 자', '울부짖는 자'라는 뜻.② 족장 시대 초기(약 B.C.2000년 경), 아브라함과 동시대의 인물로 추정됨.③ 동방 우스 땅에 거주한 자.2. 시대적 배경욥의 생존 시대에 관해 성경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로 인해 그가 아브라함과 동(同)시대를 살았다고 추정(推定)할 수 있을 뿐이다.첫째로, 욥의 생애에 대한 정보를 주는 욥기에 모세의 율법이나 율법에 준하는 종교 의식에 관한 기사가 없는 것으로 보아 욥은 모세 이전의 사람이었을 것이다.둘째로, 욥은 시련을 통과한 후 140년을 더 살았다고 하는데(욥42:16) 결국 그가 산 연수는 약 200년 안팎이었을 것인 ..

성경인물연구 2025.05.23

하만

성경의 인물연구하만 ― 바사의 교만한 총리대신1. 인적 사항① 아각인 함므다다의 아들(에 3:1). ② 바사 왕의 총리대신(에 3:1). ③ 열 아들을 둠(에9:10).2. 시대적 배경바사 왕 아하수에로(B.C.485-464년) 당시에 바사의 제2인자로 약 6년간 활동했던 고관이다.3. 성품① 자신의 지위를 내세워 경의를 요구할 만큼 교만한 자(에 3:1,2)② 개인 감정 때문에 한 민족을 멸하려한 옹졸하고 잔인한 자(에 3:6).③ 무안을 당했을 때 복수를 해야만 직성이 풀리는 매우 완악한 성경의 소유자(에3:2-6).④ 자기 꾀에 자기가 넘어갈 만큼 교활하나 일면 어리석은 자(에 7:9).4. 구속사적 지위① 포로 생활 중 하나님의 선민을 궤멸하려 한 자로서 하나님의 구속 사역을 방해하는 사단을 예표..

성경인물연구 2025.05.23

에스더

성경의 인물연구에스더 ― 죽으면 죽으리라는 믿음의 여인1. 인적 사항① 에스더는 '별'을 뜻하는 바벨론 식의 이름, 히브리 이름의 '하닷사'(에 2:7).② 바베론에 포로로 잡혀간 베냐민 사람 아비하일의 딸(에 2:15).③ 사촌 모르드개 밑에서 자람(에 2:7). ④ 바사 왕 아하수에로의 왕비(에 2:17).2. 시대적 배경바사 왕 아하수에로(Xerxes, 485-464) 당시 왕후로 있었던 인물이다. 이 당시는 B.C.586년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 의해 예루살렘이 함락된 지 약 100여년이 지난 때이며, B.C.537년 스룹바벨에 의한 제1차 바벨론 포로 귀환이 있은 지 약 60년이 지난 때이다. 바사 제국은 아하수에로의 통치하에 지중해 지역에서 경제적, 정치적으로 극도의 번영을 누리고 있었다. 이..

성경인물연구 2025.05.23

느헤미야

성경의 인물연구느헤미야 ― 신앙과 행정력을 겸비한 지도자1. 인적 사항① 느헤미야 '여호와의 위로'란 뜻. ② 유다지파 하가랴의 아들(느1:1).③ 동생은 예루살렘의 통치자가 된 하나니(느7:2). ④ 아닥사스다 왕의 술관원(느1:11).⑤ 유다의 총독이며, 예루살렘 성벽 재건의 지도자(느 5:14;2:1-8).2. 시대적 배경바사 왕 아닥사스다 1세(B.C.464-424) 당시에 활동한 인물이다. 당시 바사는 애굽을 정복, 헬라와의 평화 조약 등으로 극도의 번영을 누리고 있던 때여서 속국들에게 매우 관대함을 보였다. 이런 배경 하에 느헤미야는 제3차 바벨론 포로 귀환(B.C.444년)을 주도하였고 또한 국가의 주변 회복에 상당하는 의미를 가지는 수도 예루살렘 성벽 재건 공사를 이룩하였다.4. 성품① 수..

성경인물연구 2025.05.23

에스라

성경의 인물연구에스라 ― 제2차 귀환을 지도한 학자1. 인적 사항① 에스라는 '여호와가 도움'의 뜻. ③ 스라야의 아들(스7:1).③ 대제사장 아론의 후손으로 사독 계열의 제사장(스7:1-15). ④ 바사의 율법학자 출신(스7:6).⑤ 제2차 포로 귀환 때 유다인을 인솔한 지도자 중 한 사람.2. 시대적 배경바사 왕 아닥사스다 Ⅰ세(B.C.464-424년) 당시에 활동한 인물. 제2차 바벨론 포로 귀환(B.C.458년)을 주도하였을 뿐만 아니라 느혜미야의 주도하에 이루어진 제3차 포로귀환(B.C.444년) 이후에도 유다 백성들의 율법 교육과 개혁 운동의 선구자 역할을 하였다.4. 성품① 유다 포로귀환 지도 직무를 맡을 정도로 신임을 받은 자(스7:6).② 율법에 익숙한 학사이며 제사장이면서도 율법을 꾸준..

성경인물연구 2025.05.23

시드기야

성경의 인물연구시드기야 ― 두눈이 뽑힌 유다 왕국 최후의 왕1. 인적 사항① 시드기야는 '여호와는 정의이심'의 뜻. 본명은 '맛다니야'(왕하24:17). ② 요시야와 립나 예레미야의 딸 하무달의 넷째 아들(대상 3:15). ③ 조카 여호와긴의 뒤를 이어 즉위(대하 36:10). ④ 유다의 마지막 왕 으로 11년간 통치(왕하 24:18).2. 시대적 배경B.C. 597-586년까지 통치. 이 당시는 애굽과 바벨론 사이에 긴장이 극도로 고조된 시기였다. 시드기야는 애초에 바밸론에 의해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친 바벨론 정책을 썼으나 애굽이 바벨론보다 어느 정도 우세한 듯 하자 바벨론을 배반하고 친애굽 정책으로 돌아섰다. 이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보복으로 남유다는 멸망하게 된다(B.C.586년).4. 성품①..

성경인물연구 2025.05.23

므낫세

성경의 인물연구므낫세 ― 말년에 회개한 남유다 제14대 왕1. 인적 사항① 므낫세는 '망각케 하는 자'의 뜻. ② 선왕 히스기야와 헵시바의 아들(왕하 21:1).③ 남유다 제14대 왕으로 12세에 등극하여 55년 간 통치(왕하 21:1).2. 시대적 배경B.C.697-642년까지 통치, 므낫세는 선왕 히스기야가 반 앗수르 정책을 편 것과는 달리 친 앗수르 정책으로 일관하였다. 이는 당시 앗수르가 두로와 애굽 등 지중해 지역 국가들을 거의 다 정복하는 등 앗수르 역사상 강력한 대 제국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3. 주요 생애4. 성품① 통치 초기에 각종 이방 종교를 들여오고 사술과 우상을 숭배한 것으로 보아 이교에 몰두한 자.② 자신 뿐만 아니라 백성을 꾀어 악을 행하게 한 사악한 자(왕하21:9).③ 하나님..

성경인물연구 2025.05.23

아하스

성경의 인물연구아하스 ― 가장 사악했던 남유다 제 12대 왕1. 인적 사항① 아하스는 '여호와께서 사로잡으셨다'라는 뜻. ② 요담 왕의 아들(왕하 16:1).③ 남유다 제 12대 왕으로써 20세에 즉위하여 16년간 통치(왕하 16:2).④ 아들 히스기야가 왕위 계승(왕하 16:20;대하 28:27).2. 시대적 배경B.C. 731-716년까지 통치, 북이스라엘 왕 베가와 동시대의 인물이다. 이 시기는 가나안 북방의 앗수르가 신흥 강대국으로서 세력을 확장해 오던 시기였다. 이미 앗수르와 적대관계에 있던 아람은 북이스라엘과 동맹을 맺고 강한 반앗수르 정책을 폈으나 남유다 왕 아하스는 도리어 친앗수르 정책으로 앗수르의 보호를 받고자 했다. 이 결과 남유다는 북이스라엘과 강한 적대적 관계가 되었으며, 또 앗수르..

성경인물연구 2025.05.23

웃시야(아사랴)

성경의 인물연구웃시야 ― 문둥병에 걸린 남 유다 제 10대 왕1. 인적 사항① 웃시야는 '여호와는 나의 힘'이라는 뜻. ② '아사랴'라고도 불림(왕하 15:1).③ 아마샤 왕과 예루살렘 사람 여골리아의 아들(대하26:1-3). ④ 남유다 제 10대 왕으로 52년간 통치.2. 시대적 배경B.C.791-739년까지 통치, 북이스라엘 왕 여로보암 2세와 동시대의 인물이다. 이 당시는 가나안 북방의 앗수르가 아람을 공격하며 그 세력을 견제하던 시기로서 상대적으로 가나안 땅은 정치적으로 매우 안정된 시기였다. 이와 같은 정치적 호황기를 맞아 북왕국 여로보암과 남유다 웃시야 왕은 활발한 정복 전쟁에 의해 솔로몬 때만큼 이스라엘 영토를 확장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동시에 암몬과 모압 등을 제압함으로써 국제적인 지위 향..

성경인물연구 2025.05.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