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설교 22

반전(反轉)의 하나님(에6:1-11)

반전(反轉)의 하나님(에6:1-11) (서론)1942년 6월 일본은 진주만을 기습 공격하였습니다.진주만은 하와이 오하우섬에 있는 미국 해군의 주요 항구입니다.일본은 이 전쟁으로 태평양이 욱일기 아래 놓였다고 장담했습니다.일본은 필리핀과 싱가포르를 차례로 점령하고 호주까지 위협했습니다.미군은 기습공격을 당하여 사기가 바닥까지 떨어졌습니다.미군 함대는 대부분 침몰하거나 심각한 손상을 입었습니다.지휘부는 극심한 혼란에 빠졌습니다.일본군은 이 틈을 타 미드웨이섬 점령을 시도했습니다.일본은 하와이에 교두보를 마련하고 미국 함대를 완전히 섬멸하려 했습니다.일본 연합함대 사령관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이 작전을 지휘했습니다.그는 네 척의 거대한 항공모함과 수많은 전함을 이끌고 미드웨이로 향했습니다.미군은 단 세 척의 ..

2025년 설교 2025.07.20

신령한 복을 받은 자(엡1:3-7)

신령한 복을 받은 자(엡1:3-7) (서론)시골의 농협은행에서 있었던 실화입니다. 도시에 사는 분이 시골 면 단위에 갔는데 갑자기 송금할 일이 있어서 농협엘 갔습니다. 이분의 앞번호를 받은 분이 농협 직원과 실랑이를 벌이고 있었습니다. 그분은 할머니인데 창구 여직원과 비밀번호 때문에 일어난 일입니다. “할머니 돈을 찾으려면 비밀번호를 알아야 해요?” 그러자 할머니가 여직원에게 비, 둘, 기라고 했습니다. 여직원은 당황해하면서“할머니 뭐라고요?” 그러자 할머니는 작은 음성으로 비, 둘, 기라고 했습니다. 여직원은 당황한 음성으로“할머니 다시 한번 말씀해 주세요. 비둘기라는 비밀번호는 사용하지 않아요.” 할머니는 자신의 비밀번호를 다른 사람이 들을까 봐 작은 목소리로 비, 둘, 기라고 또박또박 말했습니다. ..

2025년 설교 2025.07.19

성전에 놓을 세가지(레24:1-8)

성전에 놓을 세가지(레24:1-8) (서론)교회 성장학자 중에 맥가브란과 피터 와그너라는 교수가 있습니다. 이 사람들의 주장은 교회가 성장하는데 원리가 작용한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학문적으로 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첫째, 동질집단의 원리입니다. 비슷한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복음을 잘 받아드리고 교회에 정착한다는 원리입니다. 같은 언어, 풍습, 생활양식, 경제적 수준, 문화적 배경이 비슷할 때 전도와 양육이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둘째, 수용성의 원리입니다. 사람들이 복음을 받아드릴 수 있는 준비 상태, 영적, 사회적, 개방성을 가진 타이밍에 전도가 효과적으로 이뤄진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를 믿어야 하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찾아가야지 쌩짜백이를 찾아가서는 전도가 안 됩니다. 셋째,..

2025년 설교 2025.07.16

아브넬의 비극(삼하3:25-30)

아브넬의 비극(삼하3:25-30) (서론)1977년 부산에서 실제 있었던 일입니다. 일찍 남편을 여의고 4남매를 홀로 키우며 고생한 어머니가 중병에 걸려 임종이 가까워졌습니다. 흩어졌던 자녀들이 모두 모였고, 어머니는 “나는 지금 죽어도 여한이 없다. 그런데 평생 다이아반지 하나 껴보지 못하고 죽는 게 원통하구나” 하셨습니다.자녀들은 어머니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드리기 위해 다이아 반지를 사 드리기로 했지만, 맏며느리가 다른 제안을 했습니다. “최근 옆집 아주머니가 산 반지를 빌려 드리고, 돌아가신 후에 다시 돌려 드리면 어떻겠느냐”고 했고, 모두 좋다고 했습니다. 그렇게 반지를 빌려 고급 상자에 넣어 어머니께 드렸습니다.어머니는 반지를 손가락에 끼고 어린아이처럼 좋아하시며 한참 들여다보셨습니다. 그러더니..

2025년 설교 2025.07.08

꿈을 주시는 하나님(창28:10-22)

꿈을 주시는 하나님(창28:10-22) (서론)정신분석학자 프로이드가 말하는 꿈과 성경이 말하는 꿈은 차이가 있습니다. 프로이드는 꿈을 인간의 무의식, 특히 억압된 욕망의 표현으로 보았습니다. 그는 꿈을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는데, 이 중 어른들이 꾸는 대부분의 꿈은 억눌러진 욕망이나 감정이 상징적으로 표현된 것이라 해석했습니다. 꿈의 내용은 과거의 경험, 감정, 최근에 접한 정보 등이 복합적으로 섞여 나타나며, 꿈을 해석함으로써 무의식의 욕구와 갈등을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즉, 꿈은 개인의 심리적, 내면적 작용의 산물이며, 주로 개인의 억압된 욕망이나 감정이 상징적으로 드러나는 장으로 이해됩니다.성경이 말하는 꿈은 프로이드의 주장과 다릅니다. 성경에서 꿈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하나는..

2025년 설교 2025.06.28

내 인생의 도피성(수 20:1-9)

내 인생의 도피성(수 20:1-9) (서론) 아돌프 아이히만은 나치 독일의 SS 장교로, 유대인 학살 계획인 ‘최종 해결책’을 실무적으로 주도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그는 전범으로 기소 대상이 되었지만 도피에 성공했습니다. 그는 오스트리아와 독일 등지를 거쳐 가명을 쓰고 아르헨티나로 도망쳤습니다. 이스라엘의 정보기관 모사드는 아이히만의 은신처에 대한 제보를 입수했습니다. 1960년, 모사드는 비밀 작전을 감행해 아이히만을 아르헨티나에서 납치했습니다. 납치 작전은 국제적인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이스라엘은 정의 실현을 강조했습니다. 아이히만은 이스라엘로 이송되어 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1961년, 예루살렘에서 전 세계가 주목하는 공개 재판이 열렸습니다. 그는 자신이 단지 명령에 따른 하급자..

2025년 설교 2025.06.13

기독교와 국가(롬13:1-7)

기독교와 국가(롬13:1-7) (서론)국가(國家)는 일반적으로 국민, 영토, 주권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 사회 집단으로 정의됩니다. ‘국가’라는 용어보다 ‘민족국가(Nation-State)’라는 개념이 더 명확하게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민족과 국가라는 두 요소가 결합 된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사회과학적으로는 국가는 중앙 정부가 자주권을 행사하는 정치적 단위로 규정합니다. 막스 베버 (Max Weber)는 국가를 “영토 내에서 합법적 물리적 강제력을 행사하는 주체”라고 정의했습니다. 국가의 목적에 대해서도 사유 재산 보호, 법 집행, 주권 대행 등 다양한 견해가 존재합니다. 반면, 사회주의에서는 국가를 지배계급의 이익을 위해 존재하는 기관으로 보고, 궁극적으로 소멸해야 할 대상으로 봅니다. 현실적..

2025년 설교 2025.05.31

좋은 부모 (엡6:1-4)

좋은 부모 (엡6:1-4) (서론)아주 먼 옛날, 깊은 산을 지나야 겨우 닿을 수 있는 한 마을이 있었습니다. 그 마을에는 특이한 전통이 하나 있었는데, 바로 ‘아이들을 귀찮아하는 것’이었습니다.“저놈들 시끄럽기만 하지 무슨 쓸모가 있냐!”“일도 못 하고, 말은 안 듣고, 그저 먹기만 하지!”마을 어른들은 아이들을 마치 짐짝처럼 여겼습니다. 잔소리는 기본이고, 아이들이 다가오기만 해도 찡그린 얼굴로 물러가라고 손을 내저었습니다. 아이들은 골목 구석에서 속삭이며 놀았고, 마음 놓고 웃지도, 울지도 못했습니다.그런 어느 날, 예상치 못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그 나라의 임금님이 직접 말을 타고 그 마을을 방문한 것입니다. 임금님의 방문에 마을 사람들은 모두 깜짝 놀라 모여들었습니다. 임금님은 마을 광장에서 조..

2025년 설교 2025.05.03

우리에게 최고의 가치(마22:34-40)

우리에게 최고의 가치(마22:34-40) (서론)미국의 한 청년이 어머니의 생일을 맞아 특별한 선물을 보내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애완 동물가게에 가서 주인에게 물어보았습니다.“이 가게에서 제일 비싸고 좋은 것을 주십시요.”주인은“앵무새 한 마리를 보여드리죠. 좀 비싸긴 해도 이놈은 주기도문도 거뜬히 외웁니다. 기분 좋은 날은 시편 23편, 고린도전서 13장도 그저 술술외웁니다.” 청년은“그것 참 훌륭하군요. 값은 얼마나 비싸든 상관이 없어요. 우리 어머니께서 이 새가 말하는 성경 말씀을 듣고 위안받으면 그것으로 만족할 테니까요.” 이 청년은 새를 사서 곧 택배로 보냈습니다. 며칠 후 아들은 전화했습니다. “어머니, 제가 보낸 새 받으셨어요?” 어머니“그래 받았다.” 아들, “어때요. 선물 맘에 들어..

2025년 설교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