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의 인물연구
므낫세 ― 말년에 회개한 남유다 제14대 왕
1. 인적 사항
① 므낫세는 '망각케 하는 자'의 뜻. ② 선왕 히스기야와 헵시바의 아들(왕하 21:1).
③ 남유다 제14대 왕으로 12세에 등극하여 55년 간 통치(왕하 21:1).
2. 시대적 배경
B.C.697-642년까지 통치, 므낫세는 선왕 히스기야가 반 앗수르 정책을 편 것과는 달리 친 앗수르 정책으로 일관하였다. 이는 당시 앗수르가 두로와 애굽 등 지중해 지역 국가들을 거의 다 정복하는 등 앗수르 역사상 강력한 대 제국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3. 주요 생애
4. 성품
① 통치 초기에 각종 이방 종교를 들여오고 사술과 우상을 숭배한 것으로 보아 이교에 몰두한 자.
② 자신 뿐만 아니라 백성을 꾀어 악을 행하게 한 사악한 자(왕하21:9).
③ 하나님의 징계와 회개 후에 이방신을 제하고, 여호와만 섬길 것을 백성에게 명한 것으로 보아 결단력 있고 적극적인 자(대하 33:15,16).
④ 왕위에 복귀한 뒤 건축·방위·행정 개혁에 몰두한 것을 보아 정치적 통치 능력도 갖춘 자(대하33:14).
5. 구속사적 지위
① 바벨론 포수와 회개 사건 이후 왕위에 다시 복귀된 자로서 아무리 흉악한 죄인이라도 회개하는 자는 하나님께 용서받을 수 있음을 보여준 자.
6. 주요 업적
① 우상숭배를 돌이킴(대하 33:15). ② 앗수르와 동맹을 맺음으로 물질적 번영을 이룸.
7. 실수
① 통치 초기 각종 이방종교를 장려함(왕하 21:2-7). . ② 무고한 선지자를 박해함(왕하 21:16).
8. 평가 및 교훈
① 남유다 역사상 가장 사악했던 우상 숭배자 므낫세는 하나님의 징계로 말미암아 앗수르의 포로 신세가 되어 혹독한 시련을 당하였다(대하 33:11). 여기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상 숭배를 얼마나 싫어하시는지 짐작할 수 있다.
② 우상 숭배에 빠졌던 므낫세는 결국 하나님의 선지자들의 충고를 무시함으로 파멸을 자초했다(왕하21:10-16). 이는 먼저 죄에 빠지지 않기 위해 힘써야 하지만 혹 실수로, 또한 연약하여 죄에 빠졌다 할 지라도 하나님이 돌이킬 기회를 허락하셨을 때 그 때를 결코 놓치지 말아야 함을 교훈 한다.
③ 하나님 앞에서 온갖 가증한 일을 행하고 백성까지도 악의 길로 인도했던 므낫세가, 포로 생활 중에 하나님 앞에 회개할 때 하나님께서는 그의 죄를 용서해 주시고 다시 왕위에 복귀되도록 은혜를 베푸셨음을 알 수 있다(대하 33: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