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간(時間)
시간은 피었던 꽃을 하나하나 지우며
알 수 없는 어디론가 이동한다.
내가 처음 하늘을 보던 날
아직 자아를 의식하지 못했지만
시간은 꽃을 지우는 대신 나를 조금씩 키웠다.
내가 이드(id)를 의식하던 날에야
나는 시간을 먹고 자란다는 걸 깨달았다.
육십만 사천사백 시간이 목구멍을 거쳐
엉덩이 사이로 술술 빠져나갔다.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시간을 마실지 모르지만
시간은 어느 정점을 지나는 순간
나의 몸을 더 이상 밀어 올리지 못했다.
생성과 소멸의 프로세스는
시간이 주무르는 오토메이션일까?
뒤엉긴 시간의 안개 속에서
나는 할당 된 시간을 강물에 던지지 않았다.
시간은 살아 있는 것들만 상대한다.
여름에 피는 꽃밭에 날개달린 생물을 보내고
장마 비 쏟아지는 한여름 밤에도
천문대 시계는 멈추지 않는다.
내 호주머니에는 시간을 잠글 자물쇠가 없다.
양손을 묶인 채 어찌할 도리 없이
시간이 걸어놓은 목줄에 끌려갈 뿐이다.
태양은 작년처럼 내 머리위에서 졸며
아픈 심장을 사정없이 단축시키고 있다.
아직 내 시간의 잔고(殘高)는 모른다.
2020.6.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