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성인물

성 프란시스의 삶과 영성(Spirituality of St. Francis)

신사/박인걸 2024. 9. 8. 05:08
반응형

성 프란시스의 삶과 영성(Spirituality of St. Francis)

 

성 프란시스(아시시의 프란시스, 1181/82-1226)의 삶은 영성 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의 삶과 신학은 기독교 영성의 중요한 흐름 중 하나로, 기독교인들에게 깊은 영적 가르침을 제공한다.

1, 초기 생애와 회심

프란시스는 1181년이나 1182년에 이탈리아의 아시시에서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젊은 시절 그는 쾌락과 사치 속에서 살았으나, 전쟁과 포로 생활을 겪으며 내적인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그의 회심은 1205년 산 다미아노 교회에서 기도하던 중 “프란시스, 가서 내 집을 고쳐라.”라는 그리스도의 음성을 들으며 절정에 달했다. 이후 그는 아버지의 재산을 포기하고 철저한 가난 속에서 그리스도를 따르기로 했다.

2, 가난과 순종의 삶

프란시스는 기독교 영성에서 가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복음서의 가르침에 따라 철저히 가난한 삶을 선택했다. 프란시스는 물질적 소유를 버리고 완전한 가난을 통해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실천하려 했다. 이는 성서의 “부자가 천국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귀에 들어가는 것이 더 쉽다.”라는 구절을 따르는 것이다. 그의 가난의 영성은 단순한 생활양식이 아니라, 세속적 권력과 물질주의를 거부하고 하나님과 완전한 일치를 추구하는 방법이었다.

3, 자연과의 일치

프란시스는 자연과 깊은 연합을 통해 하나님을 찬양했다. 그는 모든 피조물을 형제자매로 여겼고, ‘피조물의 노래’(Canticle of the Creatures)에서 태양, 달, 별, 물, 불 등을 하나님을 찬양하는 존재로 묘사했다. 이러한 자연에 대한 사랑은 그가 하나님의 창조 세계를 깊이 사랑하고 존중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기독교 영성에서 창조의 신학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이바지했다.

4, 기도와 묵상

프란시스는 끊임없는 기도와 묵상으로 하나님과 깊은 교제를 나눴다. 그는 산과 숲에서 혼자 기도하는 시간을 자주 가졌고, 이를 통해 내적인 평화와 하나님과의 일치를 추구했다. 그의 기도 생활은 단순한 말의 반복이 아니라, 진정한 마음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그는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뜻을 깨닫고 이를 실천하는 삶을 살았다.

공동체와 사역

프란시스는 가난한 형제 회의 창설을 통해 형제애와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동료들과 함께 복음을 전하며, 병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았다. 그의 공동체는 물질적 소유를 나누고, 서로를 섬기는 삶을 실천했다. 이는 초기 교회의 공동체 생활을 재현하려는 노력으로, 영성 신학에서 중요한 모델이 된다.

5, 수난과 죽음

프란시스는 그리스도의 수난에 깊이 동참하고자 했다. 그는 성흔(스티그마타)을 받아 그리스도의 고통을 몸으로 체험하며, 이를 통해 그리스도와 더욱 깊이 일치하고자 했다. 그의 죽음은 1226년 10월 3일로, 그는 마지막까지 가난하고 겸손한 자세로 생을 마감했다. 그는 자기 죽음을 ‘자매 죽음’이라 부르며,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다.

6, 영성 신학적 의의

프란시스의 삶은 영성 신학에서 몇 가지 중요한 주제를 제시한다. 첫째, 가난과 겸손의 영성이다. 그는 철저한 가난을 통해 세속적 가치관을 거부하고 하나님과의 일치를 추구했다. 둘째, 창조 세계와의 일치이다. 프란시스는 자연을 통해 하나님을 찬양하며, 피조물의 아름다움 속에서 하나님의 존재를 경험했다. 셋째, 기도와 묵상을 통한 내적 변화를 강조했다. 그는 끊임없는 기도와 묵상을 통해 하나님과 깊은 관계를 유지했다. 넷째, 공동체 생활의 중요성을 제시했다. 프란시스는 형제애와 상호 섬김을 통해 초기 교회의 이상을 실천하고자 했다.

프란시스의 삶과 가르침은 오늘날에도 많은 기독교인에게 깊은 영적 가르침을 제공하며, 그의 영성은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다. 그의 삶은 기독교 영성 신학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루며, 현대의 신앙인들에게도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