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51

학개

성경의 인물연구학개 ― 성전 재건을 독려한 선지자1. 인적 사항① 학개는 '축제', '즐거움'이라는 뜻.② 바벨론 포로 생활 중 제사장 가문에서 출생한 것으로 추정됨.③ 스룹바벨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한 제1차 포로 귀환 때 귀환함(대하 36:23; 스 1:1).④ B.C.520년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 사역(학 1:1; 2:10).2. 시대적 배경페르시아의 고레스 왕이 B.C.539년에 바벨론을 함락하였다. 그 후 B.C.538년에 칙령을 내려서 유대인들로 하여금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선전을 재건토록 하였는데(스 1:1). 이듬해 바벨론 포로의 제1차 귀환이 이루어져 스룹바벨을 중심으로 일반 회중 42,360명, 종 7,337명,노래하는 남녀 200명이 귀환하였다(스 2:1-67). 물론 이 가운데에는..

성경인물연구 2025.05.25

스바냐

성경의 인물연구스바냐 ― 여호와의 날을 선포한 선지자1. 인적 사항① 스바냐는 '여호와께서 숨겨 주신 자', '보호하신 자'라는 뜻.② 남 유다 제13대 왕 히스기야의 4대손, 아마랴의 증손, 그다랴의 손자 구시의 아들(습 1:1).③ 남유다 제16대 왕 요시야 때 활동한 왕족 출신의 선지자.④ 소선지서 스바냐서의 저자.2. 시대적 배경스바냐는 B.C. 630-625년경, 남유다 제16대 왕 요시야의 통치(B.C.640-609년) 때에 주로 활동한 선지자이다. 당시 근동의 패권국인 앗수르는 신바벨론 제국(B.C.625-539년)의 등장과 함께 그 세력이 급격히 쇠퇴해져 가던 때였다. 이 때에 요시야는 대외적으로는 선왕들이 친앗수르 정책을 폈던 것과는 달리 강력한 반 앗수르 정책을 폈다. 그리고 대내적으로..

성경인물연구 2025.05.25

하박국

성경의 인물연구하박국 ― 하나님과 대화로 의심의 해답을 찾은 선지자1. 인적 사항① 하박국은 '껴안은 자', '매달리는 자'라는 뜻. ② 남유다의 선지자(합1:1). ③ 하박국서 저자.④ 레위 지파 출신의 제사장 또는 성가대원으로 추정(합 3:19).2. 시대적 배경하박국은 앗수르 제국의 수도 니느웨와 신바벨론 제국의 창건자 나보폴라살(B.C.625-605년)과 메대의 시악사레스(B.C.625-585년)의 연합군에 의해 함락된 B.C.612년부터 남왕국 유다가 바벨론에 의해 제1차 침입을 당했던 B.C.605년 사이에 주로 활동한 선지자다. 이 시기에 남유다는 요시야, 여호아하스, 여호야김의 통치 시대로서 B.C.586년 바벨론 제국에 의한 예루살렘이 함락되기 직전이다.3. 성품① 자기 백성의 죄악 됨을..

성경인물연구 2025.05.25

나훔

성경의 인물연구나훔 ― 니느웨에 임할 심판의 선포자1. 인적 사항① 나훔은 '위로자', '안위자'라는 뜻. ② 유다 남쪽 시므온 지파의 땅인 렐고스 출신(나 1:1).③ 예레미야, 스바냐와 동시대에 활동한 선지자. ④ 남왕국 유다의 선지자로 추정(나 1:15).2. 시대적 배경나훔은 B.C.663-612년경에 주로 활동했는데, 당시는 팔레스틴은 물론 애굽의 옛수도 중 하나인 테베(노아몬) 정복하며 그 위세를 떨쳤던 앗수르 제국이 서서히 쇠퇴하고, 대신 나보폴라살(B.C.625-605)이 창건한 신바벨론 제국이 서서히 근동지역의 강국으로 부상하던 때였다. 그리고 나훔 선지자의 예언대로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는 신 바벨론 제국과 메대 연합군의 공격으로 B.C. 612년에 함락되기 직전 그 말기적 현상으로 정치..

성경인물연구 2025.05.25

미가

성경의 인물연구미가 ― 베들레헴에서 메시야 탄생을 예언한 선지자1. 인적 사항① 미가는 '여호와와 같은 자 누구인가?'라는 뜻.② 유다와 블레셋 가드 국경 사이의 시골 가드모레셋 출신(미 1:1, 14).③ 호세아, 아모스, 이사야와 동시대에 활동한 남유다의 선지자.④ 남유다 제11, 12, 13대 왕인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 시대에 활동.⑤ 소선지서 미가서의 저자(미 1:1).2. 시대적 배경미가 선지자가 활동을 하던 당시, B.C.735-690년경 팔레스틴 지역은 북방의 신흥 제국인 앗수르의 본격적인 남진 정책으로 인하여 국제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쓸려 있던 때이다. 즉 디글랏 빌레셀 3세(B.C.745-727년)로부터 시작하여 살만에셀 5세(B.C.727-722년), 사르곤 2세(B.C.722-70..

성경인물연구 2025.05.25

요나

성경의 인물연구요나 ― 니느웨 구원을 위해 택함 받은 선지자1. 인적 사항① 요나는 '비들기'라는 뜻. ② 아밋대의 아들(욘 1:1).③ 북이스라엘 가드헤벨 출신의 선지자(왕하 14:25).④ 여로보암 11세의 통치 기간 중 B.C.793-753년까지 사역(왕하 14:25).⑤ 최초로 이방국가인 앗수르와 수도 니느웨에 파송된 선지자(욘 3:1-10).2. 시대적 배경요나가 활동하던 당시의 북이스라엘은 통일 왕국 솔로몬과 다윗 시대의 번영에 비견되는 만큼 번영을 누리던 그 地界가 하맛에까지 이르렀다. 한편 당시 앗수르는 살만에셀 3세(B.C.783-773년) 앗술단 3세(B.C.773-755년), 앗술니나리 2세(B.C.755-745년) 등에 왕들에 의해 통치되던 시대로서 이전의 왕들의 통치 시대에 비해 ..

성경인물연구 2025.05.25

오바댜

성경의 인물연구오바댜 ― 조소자 에돔에 대한 심판 선포자1. 인적 사항① 오바댜는 '여호와를 예배하는 자' 또는 '여호와의 종'이라는 뜻.② 남유다의 선지자. ③ 이름 외에는 성경에 그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음.2. 시대적 배경오바댜는 B.C.586년경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 의한 예루살렘 성 함락 당시를 배경으로 하여 주로 활동한 선지자이다. 즉 그는 국가의 멸망이라는 엄청난 시련과 좌절에 직면해 있는 남유다 백성들에게 위로와 회복의 소망을 주어 포로 생활 중에도 결코 여호와 신앙을 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남유다의 멸망을 직·간접적으로 도운 에돔의 멸망에 대한 예언과 선민 이스라엘의 회복 예언을 선포하였다.3.성품① 하나님의 백성을 멸시했을 뿐만 아니라 매우 교만해 있던 에돔 족속을 향하여 한마디의 ..

성경인물연구 2025.05.25

아모스

성경의 인물연구아모스 ― 공의를 선포한 선지자1. 인적 사항① 아모스는 '무거운 짐진 자'라는 뜻.② 베들레헴 남쪽 6.6km 지점에 위치한 드고아 출신의 목자(암1:1).③ 남유다 출신이나 여로보암 2세 때 북이스라엘에서 활동(B.C.760-755년).④ 호세아와 동시대의 선지자(호 1:1). ⑤ 아모스서의 저자.2. 시대적 배경선지자 아모스가 활동하던 때는 남유다 왕 웃시야와 북이스라엘 왕 여로보암 2세가 통치하던 때로서 양국 다 다윗과 솔로몬의 통일 왕국 이후 정치적, 경제적 최전성기를 누리고 있었다. 이러한 번영은 북왕국 이스라엘을 위협하던 아합 왕 벤하닷 3세(B.C.796-776)가 신흥 제국 앗수르에 패하여 그 세력이 급격히 쇠퇴하였고 이 때를 틈타 여로보암 2세가 아람을 공격하여 그 영토를..

성경인물연구 2025.05.25

요엘

성경의 인물연구요엘 ― 여호와의 날을 선포한 선지자1. 인적 사항① 요엘은 '여호와는 하나님이시다'라는 뜻. ② 예루살렘 출신으로 추정. 남유다 선지자.③ 브두엘의 아들로서 12소선지 자 중의 한 사람(욜1:1).2. 시대적 배경남왕국 유다의 선지자 요엘은 유다의 유약한 제9대 왕 요아스의 재위 기간인 B.C.835-796년까지 사역한 선지자이다. 이 때는 이스라엘의 남북 분열 왕국 시대의 중반기로서, 국제적으로는 강대국간의 패권 다툼이 별로 없던 다소 평온한 시기였다. 그러나 국내적으로는 커다란 변혁의 회오리가 스치고 지나갔던 때였다. 남유다의 제7대 왕이 된 아합의 딸 아달랴를 몰아내고 7세밖에 안된 어린 요아스를 왕위에 옹립하는 대제사장 여호야다의 혁명이 있었다(왕하 11:4-12). 그리고 대제사..

성경인물연구 2025.05.25

고멜

성경의 인물연구고멜 ― 방탕한 북이스라엘의 상징1. 인적 사항① 고멜은 종국을 가져온다는 의미에서 '완성'이라는 뜻.② 디블라임의 딸(호1:3). ③ 선지자 호세아의 아내(호1:3).④ 이스르엘, 로루하마, 로암미의 어머니(호 1:3-9).2. 시대적 배경여로보암 2세(B.C.793-753년)의 통치 말기인 이 시대는 북왕국 이스라엘로서는 전에 없는 경제적, 정치적 번영을 누리던 시대였다. 그러나 종교적·도덕적으로는 우상 숭배와 부패가 극에 달하였던 바 호세아의 아내였던 고멜도 이 시대의 죄악 속에서 빠져 있던 음란한 여인이었다.3. 성품① 신약의 탕자(눅15:11-13)에 비견되는 구약의 탕녀로서 음란하고 호색적임.② 자신의 음욕을 채우기 위해 남편 호세아를 헌신짝처럼 버린 것을 보아 배은망덕한 여인...

성경인물연구 2025.05.25